북한, 비무장지대 인근 10여 곳 대남확성기 설치 <br />판문점 선언 따라 철거한 이후 2년 만에 재설치 <br />군, 맞대응 차원에서 대북확성기 재설치 방침<br /><br /> <br />북한이 비무장지대 일대 여러 곳에서 대남 확성기들을 다시 설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연락사무소 폭파에 이어서 또다시 4·27 판문점 선언 합의를 깬 건데요. <br /> <br />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북한이 대남 확성기들을 다시 설치했다는데, 얼마 만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8년 4·27 판문점 선언에 따라 확성기들을 철거한 이후 2년 만에 다시 설치한 겁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당시 40여 곳에 있던 확성기들을 철거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에 다시 설치한 곳은 10여 곳 정도 됩니다. <br /> <br />조강 건너편 황해도 개풍군에 이어서 경기 파주, 강원 철원 등지에서도 북한군의 확성기 설치가 포착된 거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군은 북한이 대남 전단을 살포하겠다고 예고한 데 이어 대남 확성기까지 다시 설치하면서, 남측을 상대로 동시다발 심리전을 벌이겠다는 의도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앞서 남북연락사무소 폭파에 이어 대남 전단 살포를 예고하고 대남 확성기까지 다시 설치하면서,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적대 행위를 중단하기로 한 4·27 판문점 선언을 거듭 어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 군은 어떻게 대응한다던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방부는 어제에 이어서 북한의 군사 동향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는 원론적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내부적으론 맞대응 차원에서 철거했던 대북 확성기들을 복구할 방침인 거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그간 최전방 지역 확성기를 이용한 대북 심리전을 가장 예민하게 여겼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에 맞서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했을 때, 북한군은 조준 사격하겠다고 위협할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도 북한이 이번에 먼저 대남 확성기들을 다시 설치한 것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62308521974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