’클럽 발 감염’ 한 달 넘게 지났지만 유동인구 회복 안 돼 <br />"지역 주민 외 약속·모임 거의 없어…60∼70% 준 듯" <br />클럽·감성주점 등 아직 집합금지 대상…서울 용산구 32곳<br /><br /> <br />최근 잇따르는 수도권의 코로나19 집단 감염은 지난달 서울 이태원 클럽이 시작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가 한바탕 휩쓸고 간지 한 달이 지난 지금, 이태원 거리 풍경은 어떨까요? <br /> <br />현장에 YTN 취재기자가 나가 있습니다. 나혜인 기자! <br /> <br />클럽 발 감염이 발생한 지 시간이 꽤 지났는데, 그곳 분위기는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말씀하신 대로 이곳 클럽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번진지 한 달이 넘었는데, 현장에는 아직 여파가 남아 있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클럽거리는 물론 이태원역 주변 대로에도, 지나가는 사람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민들 말을 들어보면 60%에서 많게는 70%까지 줄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거리를 둘러봐도 행인들은 대부분 이곳 주변에 사는 외국인이고, 약속이나 모임이 있어 찾아오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. <br /> <br />클럽이나 감성주점 등 많은 사람이 모여 춤을 추는 시설은 아직 서울시의 집합금지 명령이 풀리지 않아 문을 닫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서울 용산구에서는 집단 감염이 처음 발생했던 클럽을 포함해 32개 업소가 집합금지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룸살롱이나 헌팅포차, 단란주점 등은 지난 15일부터 집합제한으로 한 단계 행정명령이 완화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런 업소들은 손님이 들어올 때 일일이 증상을 확인하고, QR코드 등을 이용해 출입자 명단을 남겨야 합니다. <br /> <br />마스크 착용이나 좌석 간 거리 두기 등 방역수칙도 지키지 않으면 운영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업소가 이런 수칙을 인지하고 잘 지키는 모습인데, 우선 앞서 말씀드린 대로 문을 열어도 손님 자체가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텅텅 빈 가게들이 태반이고, 폐업한 업소도 곳곳에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한 상인은 코로나 사태 이후 매출이 90%나 줄었다며, 임대료 부담에 인건비라도 줄이고자 종업원을 내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습니다. <br /> <br />상점 곳곳에는 방역을 모두 마쳐 안전하다는 '클린 이태원'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지만,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수도권에서 산발적 감염 사례가 계속 나오면서, 서울시는 사흘 연속 신규 확진자가 30명이 넘으면 사회적 거리 두기로 감염병 대응 체계를 되돌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부터는 방문판매업체나 대형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62400035111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