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참 오래 걸렸습니다. <br> <br>한국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국군 용사 147명의 유해가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휴전 67년만인데요. <br> <br>내일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봉환식을 가질 예정입니다. 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유해 상자를 감쌌던 미군 성조기를 미군 2명이 벗겨내고 유엔기로 덮습니다. <br> <br>다시 유엔기를 벗기고 태극기로 감쌉니다. <br> <br>유해 소속이 미군에서 유엔군, 다시 한국군으로 바뀐 것을 상징하는 의식입니다. <br> <br>유해 상자들은 한미 양국 의장대 사이를 지나 비행장에 대기 중이던 공군의 공중급유기에 실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일동묵념" <br><br>6.25 전쟁에 참전했다 전사한 국군 용사 147명의 유해 송환식이 미국 하와이에서 열렸습니다. <br> <br>[필립 데이비슨 /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관] <br>"미수습 전사자를 찾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는 것은 그들을 절대 잊지 않는다는 믿음 때문입니다." <br> <br>역대 최대 규모의 유해 송환인데, 우리 군은 유해를 화물칸이 아닌 승객 좌석에 안치해 최고의 예우를 했습니다. <br> <br>이번에 송환된 국군 용사 유해들은 북한 개천시, 운산군, 장진호 일대에서 발굴됐습니다. <br> <br>147명 중 77명은 지난 2018년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미국에 송환한 55개 유해 상자에서 <br>국군으로 확인된 분들입니다. <br> <br>나머지 70명의 유해는 1990년부터 1994년까지 북한이 발굴해 미국에 송환한 208개 상자에서 확인됐습니다.<br> <br>하와이에서 출발한 국군 유해는 전투기 6대의 엄호를 받으며 오늘 오후 서울공항에 도착했습니다. <br> <br>147명의 유해 중 고 하진호 일병의 유해를 포함해 7명은 신원이 확인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갑니다. <br> <br>채널A는 내일 저녁 8시40분부터 국군 유해 봉환식을 생중계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