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년 전 실제 포탄이 떨어진 곳…깊은 구덩이 <br />포탄에 해병대원 숨져…소나무에 박힌 모표 <br />故 서정우 하사, 휴가로 나갔다가 포탄 보고 복귀<br /><br /> <br />6.25 전쟁 이후에도 남북 접경지역에는 크고 작은 충돌이 발생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서해5도 가운데에서도 북한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연평도는 무력 충돌 상흔을 고스란히 갖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는 당시 현장을 잘 보존해, 섬 전체를 평화의 중요성을 알리는 거대한 안보교육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김우준 기자! <br /> <br />김 기자가 지금 나가 있는 곳은 어딘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가 나와 있는 곳은, 10년 전 연평도 포격 당시 실제 포탄이 떨어진 곳입니다. <br /> <br />제 옆에 구덩이 보이실 텐데요. <br /> <br />콘크리트가 깊게 파여 있는데, 이곳이 북측이 쏜 122mm 방사포탄이 직접 떨어진 장소입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그 포탄의 파편을 맞고, 해병대 병사 한 명이 이 자리에서 숨을 거두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故 서정우 하사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포탄의 충격으로 서정우 하사가 쓰고 있던 해병대의 상징, 앵카 모표가 날아갔고, 제 뒤에 있는 소나무에 그대로 박혔습니다. <br /> <br />소나무에 박혀있는 고 서정우 하사의 모표가 그날의 아픔을 생생하게 떠올리게 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서정우 하사는 휴가를 나가기 위해 부대를 나섰다가, 갑자기 쏟아지는 포탄을 보고, 휴가를 포기하고 중대로 복귀하던 가운데, 북한의 포탄을 맞고 이 자리에서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고 서정우 하사는 당시 전역을 며칠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, 안타까움을 더했는데요. <br /> <br />해병대는 고 서정우 하사의 용기와 분단의 아픔을 기리고자 이렇게 추모 공간을 조성해놨습니다. <br /> <br />크고 작은 상흔을 가지고 있는 연평도는 이곳뿐 아니라 섬 곳곳이 거대한 안보 교육장입니다. <br /> <br />피격을 당한 집들을 고스란히 보존해, 연평도 안보 교육장으로 조성했는데요. <br /> <br />아픔을 잊지 말고, 안보의 소중함을 알자는 뜻으로 산 중턱에는 평화공원까지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평화 공원은 1차 2차 연평해전 사상자를 기리기 위한 추모 공간입니다. <br /> <br />'NLL'이 정면으로 보이는 연평도 앞바다를 배경 삼아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에는 1차 2차 연평해전 당시 숨진 국군 장병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, 연평 포격 당시 희생된 고 서정우 하사와 고 민광욱 일병의 흉상도 설치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뿐 아니라, 연평도 섬 길 곳곳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62515505512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