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는 다음 주면 전 세계 코로나 19 확진자가 천만 명을 넘을 거라고 우려하고 있죠. <br> <br>여전히 확진자 수도, 사망자 수도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인데요. <br> <br>그런데 이제는 초기 진원지였던 뉴욕주가 아니라 남부 지역이 문제입니다. <br> <br>한숨 돌렸던 뉴욕주는 이제 감염자 유입을 막느라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윤수민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뉴욕 지하철역 입구 앞. <br> <br>직원들이 손소독제와 마스크를 나눠주고 승객들은 얼굴 가리개를 착용합니다. <br> <br>미용실도 가림막을 갖추고 거리 두기를 지키는 등 코로나19 초기 최대 확산지였던 뉴욕주는 강력한 방역대책으로 신규 확진자는 500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아드리안나 오소리오-프란코 / 뉴욕 시민] <br>"우리는 조금씩 조금씩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 모두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어요." <br><br>그러자 뉴욕주와 뉴저지주 등은 플로리다 등 9개 주에서 온 방문자에게 2주 자가격리를 의무화했습니다. <br><br>[앤드루 쿠오모 / 뉴욕주지사] <br>"만약 자가격리를 위반할 경우, 사법적 조치나 강제 격리를 당하게 될 수 있습니다. 또 격리 비용을 지급해야 할 것입니다." <br> <br>남부 '선 벨트' 지역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자 감염자 유입을 막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내린 겁니다. <br><br>[윤수민 특파원] <br>"이곳 캘리포니아도 7천 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오며 하루 최다 확진자 수를 갱신했는데요. <br> <br>미 최대 놀이동산인 디즈니랜드도 다음 달 놀이동산 재개장을 발표했다 거센 반발에 결국 연기했습니다." <br><br>미국 전체적으로도 하루 신규 환자가 3만 4천 명 넘게 발생하면서 확산세가 정점이었던 4월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. <br><br>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말 뉴저지에 있는 골프장을 방문할 예정이지만 자신은 민간인이 아니라며 격리 조치를 거부해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보건기구는 다음 주면 전 세계적으로 확진자 수가 1천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. <br> <br>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최춘환(VJ) <br>영상편집 : 민병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