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가 돈이 되는 세상…내가 원하는걸 알고 있다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터넷을 쓰다보면 광고가 자신이 관심있는 것 위주로 나타나거나 메일이 오는 경험 있으실 겁니다.<br /><br />내가 한 검색과 쌓인 데이터들이 이용된 결과인데요.<br /><br />데이터가 곧 돈이란 이야기인데, 그 정보를 기업들이 마음대로 써도 되는 걸까요.<br /><br />김지수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구글의 개인 계정 창입니다.<br /><br />계정관리에서 광고설정으로 이동하면 본인이 올린 적 없는 개인 정보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령대, 성별, 관심사부터 가계수입 수준이나 결혼 여부, 집 소유 여부같은 민감한 정보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구글의 인공지능이 '맞춤광고'를 위해 개인신상을 추정해 분석한 결과인데, 검색과 광고 클릭, 구매 기록 등 자신이 인터넷에서 한 모든 활동을 이용한 겁니다.<br /><br /> "구글, 페이스북,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 플랫폼 회사들은 우리 개인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. 자기들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어떤 행동이나 이런걸 보고 추정을 해내는 겁니다."<br /><br />이런 활동은 글로벌 기업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이용자 취향과 스마트폰 위치정보를 결합해 최적 배송동선을 끌어내는 국내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지난해 87조원으로 4년새 3.5배가 됐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수집, 분석된 개인정보를 기업들이 임의로 이용해도 되는가 입니다.<br /><br />유럽연합은 2018년부터 '유럽에서 발생한 데이터는 유럽을 벗어나지 못한다'는 원칙을 담은 일반 데이터 보호규칙을 도입했습니다.<br /><br />프랑스에선 이용자 정보 수집 때 동의 절차 미준수를 이유로 구글에 우리돈 약 690억원의 벌금을 물리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기업들도 데이터 3법의 국회 통과를 계기로 '돈이 되는' 데이터사업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회적 합의를 통한 개인정보 이용의 원칙 마련이 한국에도 필요하단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