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안가요 안사요'…일본 불매운동 1년째 '진행형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본의 첨단제품 소재 수출 규제로 촉발된 일본산 불매운동이 어느덧 1년이 됐습니다.<br /><br />판매가 오히려 늘어난 일부 품목이 있긴 하지만 주류, 자동차 등 여러 분야의 일본 기업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한지이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 규제에 맞서 일어난 일본 제품 불매 운동.<br /><br />가장 큰 타격을 받은 건 10년간 수입맥주 시장 부동의 1위였던 일본 맥주였습니다.<br /><br />편의점에서 가장 목 좋은 곳에 위치해 있었던 일본 맥주는 종류도 한 두 가지만 남았고, 고객들의 손이 닿기 힘든 곳으로 밀려난 상태입니다<br /><br />자동차도 타격이 큰 분야입니다.<br /><br />올해 들어 일본차들은 5월까지 7,300여대가 팔려, 작년 같은 기간보다 80% 넘게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이중 닛산은 결국, 16년 만에 한국 철수를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들의 업적과 자산 손실을 계산해봤을 때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습니다. 경영진은 매우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코로나 사태까지 겹치며 불매운동 효과가 떨어지는 조짐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발 유통업체 ABC마트, 생활용품점 무인양품은 매장이 오히려 늘고 게임업체 닌텐도 제품은 품귀현상을 보인 겁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장기간의 불매운동이 소비자들의 힘을 보여줬지만, 후유증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보이콧이 경제적으로 득이 되는 건 아니거든요. 한일 관계가 하루빨리 정상화돼서 양 국가의 경제가 원활히 다시 정상화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데…"<br /><br />하지만, 일본의 수출 규제 해제 거부와 코로나 사태 이후 지속된 양국간 갈등을 고려하면 당분간 불매운동의 지속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