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공공부문 17만 명 정규직 전환…‘노사 갈등’ 잡음 증폭

2020-06-30 19 Dailymotion

이 문제, 인천국제 공항공사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.<br /><br />2017년 6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공공 부문에서 17만 명 넘는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노사 갈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잡음을 안건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부산지하철 노조와 부산교통공사의 정규직 전환 논의는 3년째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공사는 지하철 안전 관리 인력만 직접 고용하고 청소 노동자들은 자회사 정규직으로 채용하겠단 입장이지만 청소노동자들은 직접 고용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존의 하청방식과 똑같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황귀순 / 부산지하철노조 서비스지부장 (지난달)]<br />"(소속) 업체가 부실기업이 돼서 10년 넘게 근무했는데 퇴직금도 하나도 충당돼있지 않아 못받게 됐거든요."<br /><br />지난해 한국도로공사도 고속도로 톨게이트 요금 수납원을 정규직으로 돌리며 같은 문제를 겪었습니다.<br /><br />4000명은 자회사 정규직을 받아들였지만 나머지 1400명은 직접고용을 고수했던 상황.<br /><br />본사로 직고용한 인원 1400명은 과거 수납 업무를 대체하는 일을 담당합니다.<br /><br />비정규직의 직접고용 문제는 기존 정규직에게도 민감한 사안입니다.<br /><br />본사 소속 직원이 늘어날수록 자신의 처우가 나빠질 거란 우려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실제 지난 3년간 공공기관 가운데 가장 많은 82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한국전력공사가 대표적 사례.<br /><br />대규모 직접고용으로 급여가 낮아지는 것 같다는 일부 직원의 발언이 기사화되는 해프닝이 있었지만 정작 논란의 직접고용은 전체 인력의 1%를 겨우 넘는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[한국전력공사 관계자]<br />"안전업무 등 필수직종에 한해 기존 정규직 근로자의 공채방식과 동일한 절차를 통해 260명의 전환채용을 시행했습니다."<br /><br />노사에 이어 노노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고용문제의 실타래가 더 복잡하게 얽히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<br /><br />srv1954@donga.com<br />영상취재: 김현승(부산)<br />영상편집: 유하영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