협상 결렬 여진 …여야 날선 '네탓' 공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의 21대 국회 단독 원구성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야는 서로 협상 결렬의 책임이 상대방에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88년 이후 32년 만에 한 정당이 상임위원장 자리를 모두 갖게 된 지 이틀째, 여야는 협상 결렬의 책임 소재를 놓고 공방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은 "협상권과 결정권이 분리된 통합당의 의사결정 구조가 원인이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가합의안을 받아들였지만,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를 거부한 것 아니냔 입장을 재확인한 겁니다.<br /><br /> "아침 저녁으로 뒤바뀌는 미래통합당의 변화무쌍한 입장이 합의를 끝내 무산시키고 말았습니다."<br /><br />백혜련 의원도 "알짜 상임위 7개를 제시해 거의 합의까지 이르렀었다"며 협상 결렬 배경에 의문을 던졌습니다.<br /><br />통합당은 "1당 독재에 나선 민주당이 파렴치한 지도부 이간질까지 하고 있다"고 맞받았습니다.<br /><br />애초부터 법사위원장을 가져오지 않으면 다른 위원장을 가져와도 정부여당을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없다는 게 통합당 의원들의 공통된 생각이었단 겁니다.<br /><br /> "우리나라는 모르는 사이에 마침내 1당 독재 국가가 됐습니다. (협상 결렬은) 지도부 간의 견해가 달라서 한 것이 아니란 점을…"<br /><br />최형두 원내대변인도 "가합의라는 것은 애초부터 없었고 오로지 협박만 있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