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요즘따라 쓰레기 처리장이 아닌 곳에 폐기물을 산처럼 버려 놓은 곳이 많이 보입니다. <br> <br>저희 취재진도 여러 곳 발견했는데, 특히 일회용품이 많습니다. <br> <br>코로나 19 사태 때문에 일회용품 사용이 늘어난 것이 아무래도 원인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김재혁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철제 울타리가 둘러쳐진 부지에 쓰레기가 가득합니다. <br> <br>성인 키만한 울타리지만 일부 쓰레기는 울타리보다도 높게 쌓여져 있습니다. <br> <br>쓰레기 처리 시설이 아닌 일반 사유지에 5천톤이 넘는 쓰레기가 버려진 겁니다. <br> <br>[마을 주민] <br>"아 여기가 쓰레기장인가? 이런 생각이. 울타리 치기 전에도 사람들이 다니면서 쓰레기를 무지무지하게 많이 (버렸어요.)" <br> <br>환경부가 올해 확인한 불법폐기물은 전국에 15곳, 총 3만 2000톤에 이릅니다. <br> <br>[김재혁 / 기자] <br>제 뒤편의 커다란 쓰레기 산에는 이렇게 카페에서 쓰는 일회용 컵이나 배달 음식용 포장 용기들이 잔뜩 쌓여있습니다. <br><br>버려진 쓰레기의 80%는 플라스틱과 일회용품 등이었습니다. <br><br>코로나19 사태 이후 일회용품 사용이 늘면서 불법폐기물이 더 늘어날 거란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실제로 정부가 지난 2월, 일회용품 사용을 한시적으로 허용한 뒤 매달 일회용 컵 수거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외식을 줄이고 배달음식을 많이 찾으면서 포장용기 배출도 늘었습니다. <br> <br>[환경부 관계자] <br>"(플라스틱 사용량이) 코로나 시기 심각할 때는 배달음식도 많이 먹고 해서 많이 늘어나지 않았습니까." <br><br>환경부는 불법 폐기물을 몰래 버린 업체에 대해 수사를 의뢰하고, 올해 안에 폐기물을 전량 처리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winkj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권재우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