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 보안법에 대해 중국과 홍콩 당국은 홍콩에 번영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기대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홍콩 일부 시민들은 반대시위에 나섰고 시행 첫날부터 일부 시위대가 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실상 홍콩 보안법 시행 첫날인 7월 1일. <br /> <br />중국이 홍콩을 반환 받은 지 23년째 되는 기념일 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홍콩 정부 기념식장에는 중국 국가가 울려퍼지며 중국 국기와 홍콩기가 함께 올라갔습니다. <br /> <br />행사장 정면에 홍콩보안법을 뜻하는 국가안전법이 라는 큰 글씨가 세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[캐리 람 / 홍콩 행정 장관 : 홍콩보안법은 국가의 주권과 영토 그리고 안보를 수호하는 제도를 발전시킨 역사적인 조치입니다.] <br /> <br />중국 정부는 홍콩보안법이 반환 23주년 기념 특별 선물이라고 추켜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제재에 나선 미국에 대해서는 거친 표현을 쓰며 맹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샤오밍 / 중국 홍콩·마카오 사무판공실 부주임 : (홍콩 말에) '네가 왠 참견이냐"라는 말이 있습니다. 중국이 남의 눈치를 보던 시대는 이제 지났습니다.] <br /> <br />홍콩 시민들은 거세게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집회 금지에 물대포를 동원한 초강경 진압에도 수천 명이 도심에서 산발적인 시위를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 경찰은 시위 과정에서 홍콩 독립을 주장한 사람 등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사회의 비판 수위는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과 프랑스 등 27개국이 인권 침해를 우려해 홍콩보안법의 폐지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는 정치적 탄압을 받는 홍콩인들을 난민 으로 받아들이자는 법안까지 발의됐습니다. <br /> <br />입법 과정에서도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홍콩 보안법은 제정된 이후에도 후폭풍이 계속되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[swk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0121283000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