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1만원 vs 8,410원' 최저임금 협상 난항

2020-07-01 0 Dailymotion

'1만원 vs 8,410원' 최저임금 협상 난항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을 두고 경영계와 노동계의 최초 요구안이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1만원으로 올리자고 했고, 경영계는 8,410원으로 지금보다 더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, 그간의 예상보다 격차가 커 접점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보도에 박상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노사 양측이 내놓은 최저임금 최초요구안의 간극은 예상보다 더 컸습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16.4% 인상한 1만원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1만원 미만을 제시할 것이란 일부 전망치보다 더 높은 금액을 내놓은 겁니다.<br /><br /> "과거 IMF 경제위기와 국제 금융위기 상황에서도 최저임금은 최소 2% 후반대의 인상률로 결정된 바 있습니다. 올해 코로나 상황에서도 대기업의 임금 인상률 또한 이를 훨씬 뛰어넘는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반면 동결을 주장할 것으로 예상했던 경영계는 오히려 2.1% 삭감한 8,410원을 제시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로 인한 국내·외 경제 상황 악화와 함께 지난 3년간 최저임금 인상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.<br /><br /> "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리 국가가 당면한 과제라고 한다면 경제 상황이라든가 경영 상황을 충분히 반영해서 최저임금이 안정화 될 수 있도록…"<br /><br />협상을 위한 최초 요구안임을 감안해도 노사의 입장차는 예상보다 더 컸습니다.<br /><br />최저임금 심의를 마무리 짓기 위해 남은 시간은 불과 보름 남짓.<br /><br />상대방의 카드를 확인한 노사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 (srpar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