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19 치료제로 긴급 승인된 렘데시비르가 오늘 처음으로 국내 환자에게 투약됐습니다. <br> <br>비싼 약이지만, 무상으로 공급됐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확산세가 꺾이지를 않습니다. <br> <br>오늘도 확진자 수는 50명이 넘었습니다. <br> <br>이번엔 광주가 걱정입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코로나19 치료제로 긴급 승인된 렘데시비르가 오늘 처음으로 국내 중증 환자 2명에게 투약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신규 확진자 증가세는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 KT 광화문 사옥에서 30대 남성 직원이 확진돼 건물 전체가 임시 폐쇄됐습니다. <br> <br>2천명 넘는 직원들은 전부 재택 근무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송파구에 있는 삼성SDS와 동대문구의 한 병원에서도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<br> <br>광주에선 전국에서 가장 많은 22명의 확진자가 나와습니다. <br> <br>광주의 누적확진자는 모두 78명인데 이 중 45명이 최근 닷새간 발생했습니다.<br> <br>광륵사 관련 확진자가 방문한 금양빌딩, 금양빌딩 방문자가 다니는 교회와 이 방문자의 직장인 요양시설로 2차, 3차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광주로 바이러스가 유입된 경로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권준욱 /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] <br>"연결고리를 추적할 수 있는 경우도 있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는데 아직까지는 광주의 경우에는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." <br> <br>전국에서 유일하게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된 광주 시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[서춘경 / 광주 서구] <br>"걱정이 되죠. 저희 집안에 아버지가 기저질환이 있어요. 옮길까봐 걱정돼요." <br> <br>[유광현 / 전남 나주 (광주 거주)] <br>"(2단계 격상이)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. 그렇게 해야 사람들이 안 모이고 국가에서 나서야 시민들이 의식을 느낀다고 (생각합니다.)" <br> <br>방역당국은 광주 등 호남권 확진자가 늘면서 병상 확보 대책을 마련 중입니다. <br> <br>또 종교시설 관련 소모임을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기현 김영수 <br>영상편집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