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조업을 하던 한국 선원들이 해적에게 납치되는 사건이 발생했죠. <br /> <br />기니만 일대의 해적 공격은 경제난과도 맞물려 앞으로 더 기승을 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해적 데이터로 그 실태와 위험성을 분석했습니다. 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5월과 6월에 한국인들이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납치된 사건은 현지 해적의 공격 위험이 한층 커졌다는 징후입니다. <br /> 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해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, 지난 2012년부터 9년간 전세계 해적 관련 사건의 위치를 시각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녹색이 진한 곳이 해적 사건이 잦았던 구역인데,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,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주로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18년 이후로는 서아프리카 해적 활동의 밀집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년 전과 최근을 비교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아프리카 기니만 일대의 해적 사건이 올해 1분기에 5년전보다 훨씬 더 높은 밀도로 발생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아프리카 일대의 해적 사건은 최근 3년간 급증했는데, 6월 초까지의 사건만 집계한 올해는 이미 지난해의 절반에 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 이후 기니만에서 발생한 해적 사건의 위치를 분석해보면, 해안선에서 평균 88킬로미터 떨어진 곳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해안선 20km 미만의 근해에서 사건 위치가 조밀하게 겹쳐져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해적 활동의 41%가 육지에서 20km 이내의 근해에서 발생할 정도로 연안의 배가 표적이 되고 있는데, 그만큼 현지 치안이 매우 부실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올 하반기 이후입니다. <br /> <br />해적 활동은 상반기에 활발하다가,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여름에 줄어들고, 가을이 지나면 다시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영미 / 분쟁지역 전문 PD : 코로나 상황으로 인해서 봉쇄령이 내려져서 경제 상황이 안 좋아지다보니까, 해적활동이 많아져 생긴 현상이라고 보여지고요. 가을에 우기가 풀렸을 때 경제상황이 더 악화되고 이때 또 (해적 활동이) 심해지지 않을까 우려가 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따라서 향후 해적 활동의 증가에 대비해 정부 당국이 기니만 일대로 나가는 한국 선원에게 현지의 해적 정보를 자세히 알리며 안전 대책을 강화하는 게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YTN 함형건[hkhahm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리서치 : 신수민 <br />그래픽 : 범희철, 류종원, 박지원 <br />영상편집 : 윤용준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0405313589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