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박능후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] <br />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1차장 보건복지부 장관입니다. <br /> <br />7월 5일 0시 기준, 지역사회의 신규 확진 환자는 43명이고 해외 유입 사례는 18명입니다. <br /> <br />확진 환자는 총 1만 3091명이며 현재 976명의 환자들이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사망하신 분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는 방역수칙 위반 등 조치현황과 주요 사례, 해외 건설근로자 방역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지난 2주간의 방역 관리 상황과 위험도 평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6월 21일에서 7월 4일까지 2주간의 일평균 확진 환자 수는 46.9명으로 그 직전 2주에 비해 큰 변화가 없으나 지역사회 환자 발생은 다소 줄어들었고 해외 유입 환자가 그만큼 늘어난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해외 유입 환자는 모두 검역 또는 격리 상태의 방역망 통제 범위 내에서 발견되고 지역사회의 2차 이상 감염을 발생시킨 사례가 없기에 위험도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위험도 평가에 있어서는 지역사회의 감염 상황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지역사회 환자 발생은 전체적으로 다소 감소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주간 지역사회의 일평균 확진자 수는 31.1명으로 그전 2주의 36.8명에 비해 5.7명이 감소했습니다. 수도권의 일평균 확진자 수가 33.4명에서 19.4명으로 줄어든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반면 지역적으로는 확진자 발생 지역이 확산되며 수도권의 감소 효과를 상쇄시키고 있습니다. 비수도권 지역의 일평균 확진자 수는 종전 일평균 3.4명에서 최근 2주간 11.7명으로 증가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확진자 발생이 대전과 충청, 대구경북, 광주전남 등으로 확산되는 경향에 따른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전파 양상에 있어서는 대규모 다중이용시설보다는 친목, 종교시설 등의 소모임을 통해 작은 집단감염을 다수 형성하며 감염 전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특성 때문에 확진자 발생 수는 줄어들었지만 신규 집단감염 수와 경로 미상의 확진자 비율은 직전 2주와 유사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반적으로 평가할 때 코로나19의 대규모 확산은 저지하고 있으나 방역 당국의 추적 속도가 코로나19의 확산 속도를 충분히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른바 두더쥐 잡기 식의 감염 차단 노력을 반복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방역당국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20070517004196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