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中 네이멍구 자치구 목축민 1명 흑사병 확진" <br />네이멍구 지역 지난해 11월에도 흑사병 환자 발생 <br />中, 최근 ’G4’로 명명된 돼지독감 바이러스 발견<br /><br /> <br />세계에 코로나19가 확산하는 가운데 중국에서 또 다른 고위험 전염병 환자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얼마 전엔 돼지독감이었는데, 이번엔 흑사병 환자가 나와, 보건 당국이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목축 일을 하는 주민 1명이 림프절 흑사병 판정을 받았다고 보건당국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환자는 흑사병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조사됐으며, 현재 격리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네이멍구 자치구는 지난해 11월에도 40대 부부가 흑사병에 걸려 위독해지는 등 환자 발생이 잇따르는 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흑사병은 쥐벼룩에 감염된 들쥐와 토끼 등 야생 설치류와 접촉하거나 벼룩에 물릴 경우 감염되며, 사람 사이에선 침방울로 전파됩니다. <br /> <br />지역 보건 당국은 조기경보 4단계 중 2번째인 '비교적 심각' 경보를 발령하고, 이를 올해 말까지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중국에서는 또, 'G4'라고 이름 붙여진 새로운 종류의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발견돼 미국 보건당국까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앤서니 파우치 미국 알레르기·전염병 연구소 소장은 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까지 전염된다며 1918년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와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앤서니 파우치 / 미국 알레르기·전염병 연구소 소장 : 이 바이러스가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감염처럼 이른바 즉각적인 위협은 아니지만 2009년 신종플루 때 했던 방식대로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중국 보건 당국은 다람쥣과나 설치류 등 전염병 전파 가능성이 있는 동물을 불법 사냥하거나 먹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의 부실 대응 논란을 의식한 듯 잇따른 고위험 전염병 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투명하게 정보가 공개되는지, 세계 다른 나라들은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0623205222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