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항공, 이스타에 공개 경고…사실상 파기 수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다음주까지 인수합병에 필요한 선행조건을 이행하라고 거듭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이행하지 않으면 인수 계약을 깨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는데, 사실상 파기 수순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두 회사 사장의 녹취록이 공개된 다음날, 제주항공은 입장문을 내고 관련 의혹을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상황을 고려한 조언은 있었지만 운항 중단을 강제하지 않았고, 체불임금도 이스타 경영진이 책임질 사안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인수합병이 어려운 이유도 곳곳에 포함했습니다.<br /><br />이스타항공 창업주 민주당 이상직 의원 일가의 의혹을 거론하며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말했고, 재무적인 불안정성을 언급하며 동반부실 우려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거듭 이스타항공이 선행조건을 이행하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15일까지 800억원이 넘는 빚을 해결하라는 건데, 현재 이스타항공의 여력으로는 불가능합니다.<br /><br />사실상 인수 포기를 선언한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 "인수지연으로 결국 1600명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몬 책임은 그럼 피한다는 것이냐는 의문을 갖고 싶습니다"<br /><br />이스타항공은 인수가 안되면 파산 가능성이 높은 만큼 대량 실업 사태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양측 대표에게 인수합병이 이뤄질 경우 추가 지원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중재 노력에 나섰지만, 실제 채권단 차원에서 이뤄져야 하는 만큼 장담할 수도 없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여기다 양측간 감정의 골도 깊어져 해결책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