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'대화 손짓'…3차 정상회담 가능성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3차 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 실제 성사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을 방문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도 한반도의 평화정착 의지를 재확인했는데요.<br /><br />미국 현지 연결해 자세히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워싱턴 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, 원론적이긴 하지만 3차 북미정상회담 가능성에 긍정적인 언급을 내놨는데요.<br /><br />실제 성사 가능성에 대해선 어떤 평가들이 나오는지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스티븐 비건 부장관의 방한 기간에 나와 더욱 주목을 받았는데요.<br /><br />"도움이 된다면"이란 전제 조건을 달았지만,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좋은 관계를 거듭 강조하면서 정상간 '톱-다운 방식'의 협상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를 낳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미국 대선 전 북미정상회담 필요성을 거론한 만큼 실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'깜짝' 만남이 성사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언급으로 비건 부장관의 오늘 청와대 방문에서 관련 논의가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다만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이끌어낼 유인책을 제시하지 않은 만큼 3차 북미정상회담이 탄력을 받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는 전망이 아직은 우세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정상회담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도 구체적인 시간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북한의 추가 도발 등 궤도 이탈을 방지하려는 차원의 언급이란 해석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불허한 국정운영과 최근 지지율 하락 등을 감안할 때 반전 모색 차원에서 3차 회담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시각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내 코로나19 상황도 짚어봤으면 합니다.<br /><br />누적 환자수가 300만명을 넘기면서 이제 2차 재확산이 현실화되는 모습이라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존스홉킨스대 코로나19 정보센터는 8일 오전 미국의 누적 확진자 수가 300만명, 사망자는 13만명을 넘긴 것으로 집계했습니다.<br /><br />국제 통계사이트 '월드오미터'는 이미 지난 6일 미국내 확진자가 300만명을 넘겼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환자 증가 속도인데요.<br /><br />존스홉킨스대 통계를 기준으로 보면 첫 환자 발생 뒤 100만명을 넘길 때까지는 약 100일이 걸렸지만 200만명까지는 40여 일, 300만명까지는 한달도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말 이후 미국 주 정부들이 하나둘씩 경제 재가동에 나섰고, 대규모 인종차별 반대 시위, 5월 메모리얼 데이 연휴 등을 거치며 확산세가 가팔라지는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CNN은 "코로나19가 확산하는 맹렬한 속도에 의사들이 경악하고 있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보건 전문가들은 경제 재개와 함께 많은 미국인이 코로나19 사태가 끝났다는 잘못된 안도감에 빠져들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앤서니 파우치 전염병연구소장은 일부에서 사망률이 예전에 비해 낮아졌다고 분석하는 데 대해 "낮은 사망률을 위안으로 삼는 것은 잘못된 이야기, 왜곡된 인식"이라고 꼬집었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 코로나19 대응팀장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오늘 브리핑에서 "최근 환자가 급증한 애리조나, 플로리다, 텍사스주에서 양성판정 비율이 안정화되고 있다"며 "다만 사회적 거리두기와 모임 자제 등 더 많은 것을 할 필요가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큰 상황인데, 트럼프 대통령은 어제에 이어 오늘도 학교의 정상화를 거듭 압박했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"코로나19 사태로 문을 닫은 학교들이 오는 가을학기에도 정상적으로 개교하지 않는다면 자금 지원을 중단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트윗을 통해 "민주당원들은 11월 선거전에 학교가 문을 열면 정치적으로 나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아이들과 가족들에게는 중요하다"며 이같이 적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어제도 백악관에서 학교 재개와 관련한 행사를 열고 가을 학기 개학을 촉구했는데요.<br /><br />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마련한 개교 지침에 대해서도 "매우 비현실적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질병통제예방센터는 학교 개교와 관련해 마스크 착용은 물론 책상간 거리유지, 화장실 세면대 간 물리적장벽 설치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로이터통신은 다만 "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구체적인 지원을 염두에 두고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