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내일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임대사업자들이 집단행동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임대사업자들에게 주어졌던 각종 세제 혜택이 폐지될 거라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죠. <br> <br>3년 전 임대사업자 등록을 장려했던 현 정부가 말을 뒤집어 손해를 봤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들의 목소리를 박정서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3년 전 임대사업자 등록을 적극 권유했습니다. <br> <br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 (2017년 8월)] <br>"임대사업자로 등록하게 되면 저희가 세제라든가 금융이라든가 이런 혜택을 드립니다. 다주택자이신 분들은 임대사업자로 등록하시면 좋겠습니다." <br> <br>실제로 2017년 26만 명이던 임대사업자는 3년 만에 52만여 명으로 늘었고, 등록한 임대 주택은 159만 호에 달합니다. 하지만 이 정책이 집값 상승을 유도했다며 <br> <br>여당은 주택임대사업자에 대한 세제 혜택 폐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임대사업자들은 강하게 반발합니다. <br> <br>정부 말만 믿고 임대사업자로 등록했는데 뒤통수를 맞았다는 겁니다. <br> <br>[김성호 / 변호사(가칭 임대사업자협회)] <br>"2020년에 오더니 임대사업자 적폐입니다. 그때(2017년) 등록하더라도 최소 4년동안 못 팔아요. 정부 잘못을 임대사업자들한테요 전가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[박모 씨 / 임대사업자] <br>"임대사업을 하면서 졸지에 부동산 투기꾼이 되어버린 주변의 시선에 마음이 무겁습니다." <br> <br>임대 등록으로 세제 혜택을 받는 대신, 임대료를 2년에 5% 넘게 올리지 못하고 길게는 10년간 집을 못 파는 각종 제약을 감수했는데 이제는 투기 세력으로 몰고 있다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급기야 임대사업자 세제 혜택 철회를 반대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했고 인터넷 카페에서는 헌법소원을 제기하겠다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임대사업자들은 집단 행동을 예고하며 내일 오후 국토부에 대한 공익감사를 감사원에 청구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승훈 <br>영상편집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