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강력 범죄자 일부는 국민의 알권리를 존중하기 위해 신상이 공개되기도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극소수 뿐입니다. <br> <br>경찰이 공개하지 않은 강력범까지 신상을 공개하는 웹사이트 '디지털 교도소'가 지난 5월에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경찰이 이 사이트의 위법성을 확인하기 위해 내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범죄 혐의자의 신상 정보를 공개하는 디지털 교도소입니다. <br> <br>신상을 30년간 공개해 사회적으로 심판하는 걸 목적이라고 밝혔는데, <br> <br>지금까지 1백 명 넘게 공개됐습니다. <br> <br>고 최숙현 선수의 폭행 가해자로 지목된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팀 감독과 선배는 물론, 세계 최대 아동 성착취물 사이트를 운영한 손정우도 포함돼 있습니다. <br> <br>손정우의 미국 송환을 불허한 판사들의 개인 정보도 공개돼 있습니다. <br> <br>사이트 운영자의 신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개인이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내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혐의가 확인되면 수사로 전환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[경찰 관계자] <br>"타인을 비방할 목적으로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게시해도 명예훼손에 저촉이 되니까 그 부분을 내사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사이트 운영자는 불법인 줄은 알지만, 후원금을 모금해 활동을 계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무분별한 신상털기를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유죄가 확정되지 않은 사람의 신상이 공개되면 마녀사냥으로 변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김승주 /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] <br>"사회 정의를 실현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법 테두리 안에서 이뤄져야 합니다.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." <br> <br>사이트 서버가 해외에 있어 추적이 쉽지 않은 데다, 당장 폐쇄하는 것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ica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