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방 이후 구성된 제헌국회이래 우리 국회는 꾸준히 고령화되어 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연륜 있는 다선 의원도 늘었지만 한편으로는 정치가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젊은 세대와 불통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는데요. <br /> <br />21대 국회에서 청년들의 정치 진입을 돕기 위한 이른바 '사다리' 법안들이 잇달아 발의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48년 제헌국회 당시에는 전체 2백 개 의석 가운데 44석, 네 자리 건너 한 자리마다 20·30대 젊은 국회의원들이 앉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로 우리 국회는 꾸준히 고령화해, 지난 20대 국회에서는 50대 이상 의원이 82%를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8년, 국제의회연맹의 40세 이하 국회의원 비율조사에서 우리나라는 150개국 가운데 143위, 조사 당시 만 40세 이하 국회의원은 단 2명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'고령화 국회'의 법안과 정책 논의에서 청년 문제는 번번이 후 순위로 밀리곤 합니다. <br /> <br />청년층과의 소통 한계는 최근 인천국제공항 정규직화 논란에서 여실히 드러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21대 국회 청년 의원은 13명, 직전 국회와 비교하면 약진했지만 의석 비율로는 4% 남짓, 34% 청년 인구 목소리를 담기엔 여전히 한참 모자랍니다. <br /> <br />청년들에게 정치 진입 장벽을 넘을 수 있는 '사다리'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은 비례대표 후보의 20%를 청년에게 할당하고 정당에 청년추천보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이른바 '청년정치사다리 3법'을 발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경태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청년들은 돈도 없고, 백도 없고, 경력도 일천할 수밖에 없죠. 그러다 보니까 기성세대와 경쟁하는 과정은 대단히 어렵거든요.] <br /> <br />현행 만 25세인 피선거권을 낮추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래통합당 김미애 의원이 만 21세로,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선거권과 같은 만 18세로 각각 하향하는 법안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 청년은 후보등록 기탁금은 절반 이상 낮추자는 제안까지 개원 이후 한 달, 국회에는 청년 정치를 위한 8개의 사다리 법안들이 제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지금 국회 구성에서는 사다리를 만드는 일도, 타고 올라가 안착하도록 돕는 일도 결국, 기성세대의 공감과 의지에 달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나연수[ysna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71110524181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