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조수현 국제부 기자 <br /> <br /> <br />한국의 역대 3번째 도전인 세계무역기구 WTO 사무총장 선거전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선거에 출마한 유명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늘 정견을 발표합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WTO 본부가 위치한 제네바 현지에서는 지금 선거전이 한창인데,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WTO 사무총장 선거에는 총 8명이 출마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부터 사흘간, 후보들은 WTO 일반이사회에서 차례로 정견을 발표하고 질의 응답 시간을 갖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첫날은 멕시코, 나이지리아, 이집트 후보가 각각 비전과 포부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WTO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국가 간 무역 분쟁에서 준사법적 권한을 가지고, 판결을 내리는 건데요. <br /> <br />상소기구 위원 공석 등의 이유로 이 기능이 사실상 멈춰선 상태여서, 관련 개혁이 필요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후보들은 미중 무역 갈등 속에 흔들리는 WTO의 위상을 다잡으며 개혁을 이뤄야 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응고지 오콘조 이웰라 / 나이지리아 후보 : 평화와 안보, 안정이 목표입니다. 그래서 회원국 간 분쟁 중재를 위해 WTO가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[하미드 맘두 / 이집트 후보 : 미중 긴장 국면은 WTO가 해결해야 합니다. WTO는 문제의 일부로 여겨질 게 아니라, 해결사 역할을 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이튿날인 오늘은 한국의 유명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포함해, 몰도바, 케냐 후보가 정견 발표와 기자회견을 할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기자회견은 우리 시간으로 오늘 자정에 예고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, 마지막 날에는 영국과 사우디아라비아 후보의 발표가 예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후보 8명의 정견 발표가 마무리되면, 앞으로 2개월 동안 선거 운동이 펼쳐집니다. <br /> <br /> <br />후보들의 출신 국가를 살펴보면, 양대 경제 대국인 미국이나 중국을 비롯해 강국들이 없어요. 왜 그런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과거 국제기구들의 역대 수장들을 보면, 강대국들이 맡은 적이 거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정해진 규정은 아니지만, 암묵적 관행인데요. <br /> <br />한 국가가 국제기구의 질서와 방향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막기 위한 차원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WTO도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초대 사무총장이 아일랜드 출신이었고요, 이어 이탈리아와 뉴질랜드, 태국, 프랑스, 그리고 현재 브라질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71609154607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