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시장의 움직임은 참 빠릅니다. <br> <br>그린벨트 해제 지역으로 거론되는 곳을 가보니, 그 일대에 내놓았던 매물은 싹 사라졌고, 부동산 중개업소에 문의가 잇따르고 <br>있었습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아파트 단지 건너 경부고속도로를 끼고 있는 서울 강남의 그린벨트 <br> <br>주택 공급 카드로 그린벨트 해제가 급부상하면서, 나온 물건이 없는지 문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[그린벨트 인근 부동산 공인중개사 A] <br>"문의는 늘어나긴 했어요. 뭔가 기대심리가 있는 것 같아요. 풀리는 것 아니냐는 막연한 기대 심리에 기인한 문의라고 할까요." <br> <br>[그린벨트 인근 부동산 공인중개사B] <br>"(해제) 하니 안 하니 계속 했었고. 팔려고 나오는 건 없죠. 이렇게 뜨면 사려고 하는 사람은 있는데요." <br> <br>그린벨트가 풀리면 주변 땅값도 오를 것이란 기대에 인근 아파트 매물까지 거둬들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[그린벨트 인근 부동산 공인중개사C] <br>"아파트 주민들도 집값 폭등할 거라고 뉴스에 나왔다고 올리고, 거기에 반응해서 계약금 들어갔는데도 안 판다고 하고 있어요." <br> <br>[황규락 기자] <br>"이곳은 서울 강남 번화가에서 20분 정도밖에 안 떨어진 곳인데요. <br> <br>산세가 험한 강북에 비해 비교적 평탄하고 보시는것처럼 비닐하우스 등으로 이미 훼손된 곳이 많아서 그린벨트 해제 논의가 나올때마다 후보지로 꼽히고 있습니다."<br><br>그린벨트 해제가 주택 공급의 긍정적 신호를 줄 수도 있지만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] <br>"3기 신도시에 쏠렸던 수요들이 이곳으로 한꺼번에 몰릴 경우 투기가 일거나 3기 신도시의 수요 감소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." <br> <br>서울시는 여전히 그린벨트를 지킨다는 입장이어서, 이번에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자칫 투기 심리만 조장할 수 있다는 <br>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<br>황규락 기자 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명철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