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주한미군 감축안으로 방위비 압박용?…정부는 일단 관망

2020-07-18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주한미군 감축안이 백악관에 전달됐다는 소식에 미국 정치권은 발칵 뒤집혔습니다만 정작 우리 정부는 별 말이 없습니다. <br><br>일단은 대선이 코앞인 트럼프 대통령이 압박용 카드로 꺼낸 것이란 분석이 우세합니다. <br><br>최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한국과 미국은 상대국을 오가며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방위비 분담금을 놓고 모두 7차례 협상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 협상 타결에 다가선 듯 했습니다 <br> <br>[정은보 / 한미방위비분담특별협정 협상대사 (지난 3월)] <br>"7차 회의 이후에도 긴밀한 협의를 지속해서 협상 타결을 위한 막바지 조율 단계에 와 있습니다." <br><br> 올해 13%를 올린 뒤 4년 간 7%씩 인상하는 우리안을 미국도 받아들였지만,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50% 인상안을 내세우면서 <br>협상은 넉 달째 교착 상태에 놓였습니다.<br> <br> 때문에 이번 주한미군 감축 논란은 방위비 인상까지 압박하기 위한 카드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이 한반도를 작전구역으로 포함하는 인도·태평양사령부의 미군을 재배치하는 문제를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졌지만 우리 정부는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 정부 관계자는 "한미가 논의한 바 없다"며 "방위비 협상도 타결 시기를 정해놓고 임하진 않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[정경두 / 국방부 장관(지난달)] <br>"주한미군 철수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논의된 바가 없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." <br> <br> 하지만 미국이 최근 독일 주둔 미군 감축을 결정한 사례를 완전히 무시하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사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오영롱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