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을 밝히기로 한 서울시 합동조사단이 여성단체들의 거부로 구성 자체가 난항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'수사전담 TF'를 꾸린 경찰은 첫 회의를 열고 수사 방향과 범위를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장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성권익과 인권, 법률 등 3개 분야 9명의 조사위원으로 꾸려질 예정인 서울시 합동조사단. <br /> <br />서울시는 지난 18일, 인선 작업을 앞두고 여성·인권·법률단체 6곳에 관련 전문가를 추천해달라는 협조 공문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현재까지 요청을 수락한 곳은 한국젠더법학회 한 곳뿐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여성변호사회는 서울시 진상조사에 앞서 강제수사가 시급하다는 입장을 냈고, 피해자를 지원하는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도 이미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지난 15일과 16일, 18일 세 차례에 걸쳐 두 단체에 조사단 참여와 전문가 추천을 제안했고, 17일에는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이 직접 찾아가 면담을 요청했으나 답하지 않은 겁니다. <br /> <br />조사 대상인 서울시 정무라인, 이른바 '시청 6층 사람들'이 이미 줄줄이 퇴직한 상황에서, 강제 수사권이 없는 조사단이 실효적으로 진상 규명을 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적인 시각도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[이수정 /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: 그런데 이분들이 지금 모두 사표를 쓰시고 출근을 안 하고 계시다 보니까 그러다 보니까 지금 걱정하시는 부분이 틀림없이 발생할 수도 있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경찰 수사는 속도를 내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인력을 투입해 '박원순 수사전담 TF'를 꾸린 경찰은 첫 회의를 열고 수사 방향과 범위 등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식적인 수사 범위는 서울시의 성추행 묵인·방조 의혹과 사자 명예훼손, 고소인에 대한 2차 가해 사건 등 세 가지. <br /> <br />성추행 의혹 사건 수사는 당사자인 박 전 시장이 숨진 만큼 '공소권 없음'으로 끝날 예정이지만, 성추행 의혹과 묵인·방조 의혹이 완전히 별개 사건이 아닌 만큼 수사 과정에서 성추행 관련 조사도 함께 이뤄질 수 있을 것이란 예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부장원[boojw1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72019482063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