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 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“그린벨트를 해제해선 안 된다“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습니다. <br> <br>경제부총리와 청와대 정책실장이 지핀 불을 대통령이 닷새 만에 직접 끈 겁니다. <br> <br>논란은 사라졌지만, 상처가 큰 후퇴라는 평가입니다. <br> <br>우왕좌왕하면서 부동산 정책의 신뢰는 더 떨어졌고, 시장의 혼란은 커졌습니다. <br> <br>어떻게 주택을 늘릴 거냐, 다시 원점에 섰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, 전혜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과 수도권의 그린벨트는 해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정세균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에서 "그린벨트는 미래세대를 위해 해제하지 않고 계속 보존해야 한다"고 밝혔다고 총리실이 전했습니다.<br><br>그린벨트 해제를 둘러싼 논란이 시작된 지 닷새 만입니다. <br> <br>그린벨트 해제가 다시 공개적으로 거론된 건 지난 15일 부동산 관련 당정회의 때로 주택 공급을 늘리는 방안 중 하나로 논의됐습니다. <br> <br>이후 문 대통령은 주택공급 확대를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[21대 국회 개원연설 (지난 16일)] <br>"주택공급 확대를 요구하는 야당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면서 필요한 방안을 적극 강구할 것입니다." <br> <br>이어 김상조 대통령 정책실장이 나서 그린벨트 해제 쪽으로 의견을 모아갔지만 반발에 부딪쳐 결국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. <br> <br>대신 공공 부지를 적극 발굴하기로 견해를 모았는데, 국방부가 먼저 나서 태릉골프장 활용 여부를 관계부처와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서울과 수도권의 공급을크게 늘리지 않는 대신 규제로 서울 수도권 부동산 수요를 억제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실거주 1주택 외 다주택은 매매, 취득, 보유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초과이익은 환수하는 제도를 만들겠습니다." <br><br>[전혜정 / 기자] <br>전세대출과 임대사업자 세제 혜택에 이어 그린벨트 해제까지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정부가 부동산 시장의 불신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"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