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의 부동산 정책에서 비롯된 각종 이슈 하나씩 전해드립니다. <br> <br>부동산 문제에서 실책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여권이 행정수도 이전에 속도를 내고 있죠. <br> <br>정세균 국무총리까지 "세종시가 제 기능을 해야 한다"며 힘을 싣었습니다 <br> <br>전혜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민주당 지도부에 이어 정세균 국무총리가 행정수도 이전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] <br>"세종시가 제 기능을, 원래의 기능을 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인데 현재로선 국회 분원이 하루빨리 세종시에 열리는 것이 (바람직합니다.)" <br> <br>국회 세종분원 설치를 당장 실천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으로 거론한 겁니다. <br> <br>다만 행정수도 이전을 위해서는 위헌 논란이 해소돼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습니다. 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] <br>"오래 전 헌재로부터 위헌 판결을 받아서, 그런 부분이 치유돼야 완전한 수도 이전이 검토 가능하다…" <br> <br>민주당은 행정수도 이전 실무를 담당할 당내 TF를 구성하며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광온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] <br>"여야가 마음만 먹는다면 문재인 정부 임기 안에 행정수도 이전 문제를 충분히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." <br> <br>여권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국토균형발전을 완성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아 국면 전환용 이슈 띄우기란 비판이 나옵니다. <br><br>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옮기는 것도 못했다며 민주당을 비꼬았고 경실련도 "부동산 실책을 면피하는 시도"라며 "무책임한 처사"라고 꼬집었습니다.<br> <br>일각에서는 행정수도 이전을 제대로 추진하려 했다면 집권 초반에 힘있게 추진했어야 했다며 여권의 진정성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