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코로나 입원환자 5만8천명…다시 최정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내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입원 환자가 정점에 달했던 지난 4월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.<br /><br />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캘리포니아주는 누적 환자 수에서 뉴욕을 추월해 1위로 올라섰는데요.<br /><br />미국 전체적으로는 곧 400만명을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미국 현지 연결해 자세히 알아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워싱턴 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내 코로나19 사태가 심상치 않아 보이는데요.<br /><br />확진자 수는 물론 입원 환자도 최정점에 근접하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시사지 애틀랜틱이 운영하는 코로나19 정보 사이트의 집계 결과인데요.<br /><br />지난 20일 기준으로 미국 전역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는 5만8천여명으로, 최정점에 달했던 지난 4월 5만9천여명에 근접한 것으로 집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내 코로나19 입원 환자는 지난 4월15일 이후 하강 곡선을 그리며 지난달 2만7천명 수준까지 떨어졌지만 한달여 만에 다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텍사스주의 경우 현재 가장 많은 1만여명이 입원해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확산세에 제동을 걸지 못할 경우 뉴욕주가 세웠던 최대 입원 환자 1만8천여명을 추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캘리포니아 주는 누적 환자 수에서 40만9천여명을 기록하며 그동안 가장 많았던 뉴욕주의 40만8천여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에서는 최근 1주일새 입원환자가 급증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2천200여명의 입원 환자 가운데 26%가 중환자실에, 19%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앨라배마대 의과대학 관계자는 "입원 환자 수는 물론 양성 판정 비율, 사망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"며 "플랜B가 필요하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내 신규 확진자 증가세로 가파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존스홉킨스대 코로나19 정보센터는 이날 미국내 누적 확진자 수를 391만9천여명, 사망자 수는 14만2천여명으로 집계했는데요.<br /><br />지난 8일 300만명을 넘어섰던 누적 확진자 수가 불과 2주일 만에 4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해지자, 코로나19 저지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 뉴욕주지사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훈수뒀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"연방정부 차원에서 마스크 착용을 명령해야한다"고 강조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쿠오모 주자사는 오늘 전화 기자회견에서 "하루 전 트럼프 대통령이 마스크 착용을 권고한 것은 긍정적인 걸음"이라며 이같이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대통령이 마스크 의무화를 강제할 경우 4만명의 목숨을 구할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어제 코로나19 브리핑에서 "마스크 착용은 애국"이라고 언급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갈 것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뉴욕주는 한때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곳이었지만 현재는 진정세에 접어든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쿠오모 주지사는 코로나19가 한창 확산하던 지난 4월 뉴욕주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중간 갈등 소식도 짚어봤으면 합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이 사사건건 충돌하는 가운데 이번엔 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놓고 격돌하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하루 전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의 폐쇄를 중국측에 요구한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무역 협상과 코로나19 사태, 홍콩 문제 등에 이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는 어제 이번 조치에 대해 구체적인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"미국인의 지식 재산권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것"이라고 언급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"갑작스러운 조치로 세계 양대 경제대국의 패권 다툼에 새로운 전선이 열렸다"고 전했고, 뉴욕타임스는 "사실상 미중 관계의 모든 측면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강공을 놓고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한 '중국 때리기'라는 해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AP통신은 "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사태로 재선 가도에 타격을 입은 가운데 거의 매일 중국에 대한 새로운 조치를 내놓고 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도 "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공격은 재선 운동의 일환으로 많은 사람이 보고 있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신문 다만 "영사관 폐쇄는 심각한 외교 문제지만 선례가 없는 건 아니라며 지난 2017년에도 러시아의 여러 영사관을 폐쇄한 적이 있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