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나에 이어 첩약도 건강보험 적용이 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10월부터 안면신경마비, 뇌혈관질환 후유증, 월경통 등 3개 질환에 한해 우선 시범 사업을 벌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회의 전부터 찬반 대결이 뜨거웠습니다. <br /> <br />첩약에 건강보험 적용을 반대하는 의사협회 중심 단체와 찬성하는 단체가 동시 집회를 열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첩약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은 그동안 논란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이를 고려해 최선의 결과를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강립 / 보건복지부 차관 : 기대와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있고, 소위에서 면밀히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합리적 논의를 기대합니다.] <br /> <br />결과는 적용으로 났습니다. <br /> <br />단, 안면신경마비 등 3개 질환에 한해 우선 시범 실시하는 걸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참여할 한의원도 규격품 한약재만 사용하도록 하는 등 조건을 갖추도록 했고 시범 수가는 1인당 연간 최대 10일, 환자 본인 부담률 50% 적용으로 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럴 경우 진찰비를 포함해 10일분 20첩의 치료용 첩약을 짓는다면 5만 원에서 7만 원 수준이면 됩니다. <br /> <br />의사협회는 즉각 유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하 / 의사협회 대변인 : 한방 첩약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았고 건보 급여화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게 우리 입장이었고, 시범사업이 본사업까지 가지 않도록, 시범사업 자체가 시행되지 않는 방향으로 모든 대책을 강구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한의사협회는 본사업이 시행되도록 유효성을 입증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김경호 / 한의사협회 부회장 : 건정심에서도 본사업 하려면 좀 더 엄격한 관리나 유효성 측면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는데요. 과학적으로 입증된 유효성을 보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시범 사업은 10월부터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한의학 분야 건보 보장률은 전체 대비 낮은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첩약은 비급여로 본인 부담이 높았는데도 시장 규모는 계속 커져 건강보험 적용 요구가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72422192443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