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국악이 대중 속으로 파고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리타분하기는커녕 요샛말로 이른바 '힙하다'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원동력은 무엇일까요?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요즘 국악을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■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통음악 확장 프로젝트 '문밖의 사람들:문외한' <br /> <br />화제를 모았던 그룹 '씽씽'의 멤버 추다혜 씨, 이번엔 무령을 들고 무당의 노래를 부릅니다. <br /> <br />무가와 펑크의 조화가 시원하기도 하고 포근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지친 사람들에게 무당의 기복은 치유가 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추다혜 / 추다혜차지즈 메인 보컬 : 그분들이 하는 행위(굿) 자체가 사람들을 달래주고 좋은 것을 빌어주는 행위를 하는 건데 사실 예술가의 행위 자체도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정화시켜주고 좋은 것을 주고받고 하는 거잖아요?] <br /> <br />■ 해파리 <br /> <br />왕실 제사 음악인 종묘제례악을 재해석한 곡입니다. <br /> <br />동양 철학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엄숙한 종묘제례악에서 박진감이 느껴집니다. <br /> <br />■ 무토 <br /> <br />국악인과 미술인이 만나 국악을 '보는 예술'로 만든 그룹도 화제입니다. <br /> <br />국악의 확장성은 역시 공감대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년 가까이 활동하고 있는 이 판소리 단체는 우리가 살아가는 바로 지금의 문제를 노래하며 대중성을 넓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지혜 /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대표 : 소리꾼들은 예전부터 잊지 말아야 할 것들, 기억해야 될 것들, 꼬집어야 할 것들을 해학과 풍자로써 나눴잖아요. 사람들과.] <br /> <br />옛것에서 새로움을 찾아내는 요즘 관객이 한바탕 잘 놀 수 있는 실력 있는 국악인들과 만나 '국악 떼창'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윤경 / 국악방송 미디어사업 부장 : (국악) 본래의 신명과 흥이 요즘 젊은이들의 답답한 현실 속에서 해방감과 스스로를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문화로 보여지는 그런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눈에 띄는 것은 국악인의 예능 진출입니다. <br /> <br />항상 새로운 스타가 필요한 미디어가 새로운 광맥을 찾은 겁니다. <br /> <br />대중과 소통의 창구가 더욱 넓어진 국악의 질주는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[s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0072611122474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