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국 민주노총 빼고 진행되는 노사정 합의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잠정 합의안이 내일(28일) 의결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합의안에 반대했던 민노총이 빠지면서 노사정 합의안이 반쪽자리가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는데요.<br /><br />민노총은 다시 한 번 계파 갈등을 걱정할 처지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박상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명환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사정 합의안 부결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작심 발언을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 "모든 노동자의 벗이 되는 진정한 대중조직으로, 국민 전체와 호흡하는 민주노총이 되기를 지금도 바라고 있습니다. 하지만 저희들의 부족함으로 그런 호소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."<br /><br />민노총 내부 강경파에 밀려 노사정 타협 대신 또 한 번 장외로 돌아간 겁니다.<br /><br />결국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민노총을 뺀 5개 주체만 모여 잠정 합의안을 의결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민노총이 22년 만에 노사정 대타협에 참여할 것이란 기대감이 무산되면서 노사정 합의안이 반쪽자리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 민노총은 다시 내분에 빠져들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3일 노사정 대타협안 승인 안건 투표 당시 찬성과 반대 비율은 4:6.<br /><br />찬반 긴장이 팽팽히 유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결국 공석인 지도부 대신 올해 말까지 민노총을 이끌 비대위 구성을 놓고 갈등이 재연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신임 집행부 선출 이후에도 사회적 대화 참여 가능성은 낮은 가운데, 올해 제1노총이 된 민노총이 사회적 책임을 저버렸다는 비판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 (srpar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