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아시아 코로나 재확산…'100일 청정' 베트남도 뚫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동아시아의 코로나19가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은 긴급사태보다도 상황이 나빠졌고, 방역 모범국으로 주변국의 부러움을 샀던 베트남도 100일 만에 뚫린 것은 물론 전염경로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에서도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첫 발병국인 중국 옆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조기 확산 차단에 성공해 모범 방역국으로 불렸던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최근 코로나19가 심상찮은 확산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은 지난 22일 이후 닷새째 700명 이상의 하루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상황이 긴급사태 발효 당시 수준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누적 확진자는 3만명을 훌쩍 넘었고, 사망자도 1천명 넘게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상황이 날로 심각해지자 일본 정부는 지난 4∼5월에 썼던 재택근무 카드를 꺼내 들 참입니다.<br /><br />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상은 기업에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재택근무를 재차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으로 현지 언론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100일간 단 한 명의 국내 감염자도 나오지 않아 '코로나 청정국'으로 불렸던 베트남도 방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중부 관광도시 다낭 등에서 확진자들이 잇따르고 있는 데다가 감염경로조차 오리무중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몇몇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이 새로 발생했습니다. 놀라거나 당황해선 안되며, 차분히 대응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베트남 정부는 즉각 외부 관광객의 유입을 금지하고 휴교령과 함께 주점, 마사지숍 등의 영업을 중단토록 했습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에서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집단 숙소를 중심으로 급증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월 하순 첫 환자 발생 이후 누적 확진자가 5만명을 넘은 가운데 90% 이상이 외국인 노동자인 것으로 조사되자 싱가포르는 30만명의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