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 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20대 탈북민 김모 씨가 월북할 때 이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강화도 배수로입니다. <br> <br>민간인 누구나 다닐 수 있게 훤하게 열려 있습니다. <br> <br>이 근처에서 김 씨가 월북하기 직전에 버린 가방이 발견됐는데요. <br> <br>이 배수로를 거쳐 강을 건널 때까지 우리 군의 감시 초소도, 첨단 감시 장비도 무용지물이었습니다. <br> <br>영화 속 일이 현실이 된 황당한 사건, 오늘 집중 따져보겠습니다. <br> <br>김 씨의 월북 과정부터 살펴봅니다. <br> <br>정하니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탈북자 김 모씨가 월북을 시도한 장소로 군은 강화도를 지목했습니다. <br> <br>[김준락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] <br>"월북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위치를 강화도 일대에서 특정했습니다. 유기된 가방을 발견하고 확인했으며 현재 정밀조사 중에 있습니다." <br> <br>강화도 월곶리 연미정 근처로 신분증과 통장, 현금 500만 원을 달러로 환전한 영수증 등이 가방과 함께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"월북한 김 씨의 가방이 발견된 배수구 앞입니다. 배수로를 따가라면 한강 하구로 이어지는데요. 김 씨는 이곳을 통해 북한으로 헤엄쳐 간 걸로 추정됩니다." <br> <br>이곳에서 북한까지는 최장 4km 거리로 물살이 거세지 않다면 3시간 정도면 북녘땅에 다다를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월북자 김씨가 군 감시에 전혀 걸리지 않고 강을 건넌 건 의문입니다. <br> <br>철책에는 만지거나 절단하면 바로 경고가 울리는 광망이 설치 돼 있고 CCTV와 열영상감사장비도 항상 지켜보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배수구에도 침입 방지를 위한 십자 철책이 설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군은 인근 배수구 전체를 대상으로 철책 절단이나 변형 여부를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일부 주민들은 장마철에는 배수구 철책이 늘 열려 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강화군 주민] <br>"장마철에 비가 많이 왔을 적에 수문을 열어놔야 물이 빠지는 거지 평상시에는 닫아놓고." <br> <br>수십억 원을 들여 첨단 감시장비를 해놓고 어이없게 배수구를 열어놨다는 것인데, 군은 정확한 경위를 조사한 뒤 발표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 <br>honeyjung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