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해찬 더불어 민주당 대표는 한강 변에 아파트만 들어선 서울 풍경을 천박하다고 표현했습니다만, <br> <br>민주당과 정부가 서울에 더 높은 아파트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정부가 이번 주에 발표할 새 부동산 대책에 아파트 층수 제한을 풀어주는 내용이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, 대신 임대주택을 늘리는 방안이 유력합니다. <br> <br>전혜정 기자가 먼저 소개하고 잠시 뒤 이 내용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당정청은 어제 저녁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비공개회의를 열어 주택 공급대책을 논의했습니다.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국공립부지 개발, 용적률 상향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"며 "국토부와 서울시의 최종 조율만 남았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특히 공공임대주택을 늘리는 공공재건축의 경우 현재 35층까지로 제한된 층수 제한을 50층까지 풀어주는 방안이 추가 대책에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앞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도 용적률 인상을 통한 주택 공급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[김현미 / 국토부 장관(지난 23일)] <br>"공급대책 발표할 때 이야기하겠지만 도시 전체 용적률을 올리는 문제에 대해서 지방자치단체와 합의된다면 조금 더 많은 주택을 공급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" <br> <br>건물을 높게 짓는 것만으로는 집값이 잡히지 않을 거라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> <br>[육미라 / 서울 은평구] <br>"집값이 잡히기 위해서는 세제 부분이나 여러 다른 부분이 있는데 층수를 올린다고 집값이 잡힌다는 건 조삼모사 같아요." <br> <br>그러다 보니 신규 주택 공급지를 얼마나 확보하는지가 중요해졌습니다. <br> <br>태릉골프장과 용산정비창 등 서울의 국공립부지에 주택을 짓는 데는 일단 당정청과 서울시가 공감대를 이뤘습니다. <br> <br>서울 서초구 옛 한국교육개발원 부지, 통일연구원 부지, 국립외교원 부지 등도 개발 유력 지역으로 꼽힙니다. <br> <br>추가 공급책은 이르면 이번 주 내에 발표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