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靑 “우주발사체 고체 연료 제한해제”…우주 강국 토대 마련

2020-07-28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오늘 뉴스A는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소식으로 시작합니다. <br> <br>오늘부터 우리는 가격이 싸고, 금방 주입할 수 있는 고체연료를 사용해 우주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군사용으로 전용될 수 있다며 반대해온 미국이 지침을 개정해 준 건데요. <br><br>러시아와 협력해 성공했지만, 액체 연료를 기반으로 한 나로호가 두 차례 발사에 실패한 뒤에, 고체연료 <br>필요성이 더 제기돼왔는데, 일단 길이 열린 겁니다. <br> <br>이번 개정 내용과 의미, 강지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앞으로는 우주 발사체 연료로 고체연료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 <br>[김현종 /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] <br>"기존의 액체연료 뿐만 아니라 고체연료와 하이브리드형 다양한 형태의 우주발사체를 아무런 제한 없이 자유롭게 연구개발하고…" <br> <br>그동안 우리 정부는 한미 미사일 지침에 막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우주 발사체만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액체연료는 구조가 복잡해 개발이 어렵고 주입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<br><br>반면 고체연료는 발사체 내에 항상 저장돼 있어 이동이 쉽고 신속한 발사가 가능합니다. <br> <br>제작비도 액체연료에 비해 저렴합니다.<br> <br>이번 미사일 지침 개정으로 우주탐사에 활용하는 소형 인공위성과 군사용 감시정찰 위성 개발 등이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저렴한 고체연료를 활용해 저궤도 인공위성을 상대적으로 쉽게 쏘아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현재 우리나라는 군사용 정찰 위성을 단 한대도 보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현종 / 국가안보실 2차장] <br>"조만간 우리 군이 저궤도 군사위성을 다수 보유하게되어 한반도 상공을 24시간 지켜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." <br> <br>다양한 발사체 개발이 성공할 경우 대한민국은 위성강국을 넘어 우주강국으로 도약하게 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