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부터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가 전면 시행됐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어제까지 급하게 분양을 신청한 조합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지금부터 재건축 조합들이 버티기에 들어가서 공급이 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<br>박정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"2990세대 규모 아파트가 들어설 서울 서초구 재건축 단지입니다. 분양가상한제 시행 전 마지막날인 어제, 서초구청에 입주자 모집 공고 신청을 냈습니다." <br> <br>주택도시보증공사가 통보한 이 아파트의 3.3㎡당 분양가는 4891만원.<br> <br>조합원들의 기대보다 900만원 못미쳐 분양을 신청할지 고심했지만, 일단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피하기 위해 신청을 서두른 겁니다. <br> <br>[신반포3차·경남 재건축조합 관계자] <br>"눈물을 피를 토하면서 어저께 접수는 시켜놨습니다. 완전 헐값이에요 헐값." <br> <br>단군 이래 최대 규모 재건축으로 불리는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 조합 측도 일부 조합원들의 반발을 뚫고 분양 신청서를 어제 제출했습니다. <br> <br>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건축비에 택지비, 정부가 허용하는 적정 이윤을 더하면 그 가격 이상으로는 분양가를 높일 수 없게 됩니다. <br> <br>기존보다 일반분양가를 5~10% 낮춰 주변 집값 안정 효과를 기대하는 겁니다. <br><br>반면 재건축 단지는 분양가가 낮아질수록 수익성이 떨어지고 조합원 부담은 커집니다 <br> <br>이런 부담을 피하려는 조합이 늘어나 서울 신규아파트 분양 물량은 올해말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도 나옵니다 <br>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분양가 상한제를 시행하기 이전에 서둘러서 분양을 하거나 분양 시기 미루거나 아예 후분양으로 가는…당분간 주택 공급이 주는 효과가 영향으로 볼 수 있고요." <br> <br>이르면 다음주 발표될 정부의 주택 공급 확대 정책에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