족쇄 풀린 고체로켓…"차기 발사체서 활용 검토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나로호, 누리호 같이 지금까지 만들어진 국산 우주발사체는 처음 발사될 때 가동되는 1단 로켓에 액체 연료만 쓸 수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한미 미사일 지침 탓이었는데, 이제 지침 개정으로 고체 로켓도 쓸 수 있게 됐죠.<br /><br />정부가 차기 발사체에서는 고체 로켓 활용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민간 고체연료 로켓의 역사는 1993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.<br /><br />KSR1을 시작으로 4년 뒤 KSR2까지 고체로켓으로 제작했지만 이후 미사일 기술통제체제 규정에 묶여 고체로켓의 명맥은 끊겼습니다.<br /><br /> "어쩔 수 없이 가져야만 했던 취약점, 제한점 해소되기 때문에 우주개발을 위한 기술력 수준은 장기적 관점에서 올라갈 수밖에 없다…"<br /><br />고체연료 로켓은 액체 연료 로켓보다 구조가 훨씬 단순하고 값도 쌉니다.<br /><br />발사 전 연료 주입도 필요 없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민간에선 주로 1단 본체 옆에서 밀어내는 힘을 더해주는 보조 로켓으로 쓰입니다.<br /><br />고체 로켓을 활용하면 더 크고 무거운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족쇄가 풀려도 아직은 고체 로켓의 구체적 활용 계획은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내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도 이미 개발이 오래 진행돼 액체 로켓만 사용해 발사됩니다.<br /><br /> "누리호 역시 액체 추진제를 이용하는 로켓으로 개발하고 있고요. 1단쪽에 조그만 고체 부스터 로켓을 달아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저희도 그런 식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고…"<br /><br />정부는 누리호 이후 차기 발사체에서는 고체로켓을 액체로켓과 함께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