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실제 시장 반응은 어떨까요. <br> <br>임대차법이 시행된 첫 날, 전세 시장이 특히 혼란에 휩싸였습니다. <br> <br>우려대로 집주인과 세입자 간 갈등도 표면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가 현장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 상한제가 전격 시행되면서 지역 중개업소마다 문의 전화가 빗발쳤습니다. <br> <br>계약서 작성과 전세금 조정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의 갈등이 불거진 겁니다. <br> <br>[김대원 / 서울 성동구 공인중개사] <br>"(법 시행 전) 2년에 한번씩 당사자 간에 얼마씩 올려주자 특약으로 조정을 해놨는데. (안 되니까 집주인이) 당혹스럽고 곤란하다고 해요." <br> <br>[서울 강서구 공인중개사] <br>"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면서, 며칠 전에는 그 조건대로 월세로 변경해서 계약 갱신하겠다고 얘기했었는데. (세입자가) 바로 말이 바뀌었다고." <br> <br>"집주인들의 반발은 온라인에서 더욱 뜨겁습니다. <br> <br>오늘 하루에만 전세 대출 연장 거부 등 세입자들을 내보내는 방법에 대한 글이 수백 개 올라왔습니다." <br> <br>강한 규제에 대한 반발 심리로 아예 전세대출을 낀 세입자는 받지 않겠다는 집주인도 있었습니다. <br><br>집 계약시 각종 특약을 넣어 집 관리 규정을 까다롭게 만들겠다는 보복 대책도 거론됐습니다. <br> <br>임대차법 시행으로 집주인과 세입자간 대결 구도로 흘러가자 세입자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. <br> <br>[김모 씨 / 30대 세입자] <br>"들어와서 한 4년 살아야겠다고 생각했는데. 집주인이 근처에 살고 법도 바뀌고 하니까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서 2년 뒤가 좀 걱정되긴 해요." <br> <br>집주인과 세입자간 법적 분쟁도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법 시행 초반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장명석 <br>영상편집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