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면 보며 게임을 하듯 재활 치료…’스마트 장갑’ 주목 <br />디지털 기술 이용한 원격 재활 서비스 미국 출시 <br />코로나로 비대면 서비스 주목…규제 특례 적용해 시범사업<br /><br /> <br />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가운데 원격 의료 서비스의 국내 도입도 첫 시험대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각종 서비스 산업을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전방위 지원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신경계 질환을 겪는 환자들의 재활 도구를 만드는 기업입니다. <br /> <br />이 기업에서 내놓은 '스마트 장갑'은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에서 혁신상을 받으며 큰 이목을 끌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마트 장갑을 낀 채 손을 움직이면서 마치 게임을 하듯 재활훈련을 할 수 있는 게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"손목이 떨어지지 않게…네 아주 잘하셨어요."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최근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원격 재활 서비스를 미국 시장에 선보여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진이 화상 통화로 재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, 환자의 움직임과 데이터를 보고 경과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[송호영 / 네오팩트 기술전략팀장 : 비대면으로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, 병원에 오고 싶어도 오지 못하는 분들이 집에서 치료사분들과 연결이 돼서 (재활)할 수 있는 그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전 세계적인 코로나 사태 이후 이런 새로운 비대면 서비스들이 주목을 받으면서 정부도 적극적인 산업 육성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법에 묶여있던 원격 재활 서비스를 규제 특례로 풀어 시범 사업을 할 수 있도록 돕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 초부터 국내에서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 재활훈련이 가능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성윤모 /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: (우리나라는) 아직 시장 초기 단계에 그치고 있습니다만, 우리나라가 갖고 있는 풍부한 의료 데이터, 뛰어난 IT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다면 이 나라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잠재력은 크다고 판단이 됩니다.] <br /> <br />아울러 핀테크 등 유망 서비스 산업을 새로운 수출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제조업 중심의 기존 지원 제도를 대대적으로 손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들이 새로 자라날 수 있는 토대가 본격적으로 마련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[tm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80105160494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