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와대가 두 차례에 걸친 주택 매각 권고 이후에도 남아있는 다주택자 참모 8명에게 처분 시한을 한 달 더 늘려 줬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참모들이 차일피일 매각을 미루는 모양새가 됐다는 목소리도 커지는 가운데, 현실적으로 이달 말까지 처분이 어렵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차정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청와대 다주택 참모 8명의 매각 마감 시한이 기존 7월 말에서 8월 말로 한 달 더 연장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2월과 7월 초,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의 권고에 이어 사실상 이번이 3차 권고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늦어도 8월 말까지는 주택 매매계약서를 제출하라고 통보했다며, 이제 다주택자가 제로인 상황이 올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주어진 한 달 안에 현실적으로 처분이 어렵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황덕순 일자리 수석은 충북 청주에 있는 집 3채 중에 한 채를 처분했지만, 다른 단독주택은 거래수요가 적은 시골 마을에 있어 파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거성 시민사회수석의 경우, 상속받은 주택의 재건축 분양권이 전매 제한 기간에 묶여 있어 가족과 사는 경기도 구리의 아파트를 팔고, 전셋집을 구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매물이 곧바로 나가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, 가격을 낮춰서 내놓는 등 처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노 실장이 1차 권고를 내린 지 7개월이 넘도록 '1가구 1주택' 지침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서 논란만 일으켰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고위 공직자들의 솔선수범 자세보다는 차일피일 매각을 미루는 모습으로만 비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강민석 대변인과 이호승 경제수석, 김광진 정무비서관도 집을 팔았고, 노 실장도 청주와 반포 아파트를 모두 처분해 무주택자가 됐지만, 빛이 바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 '똘똘한 한 채' 논란만 부각된 채로 정부 부동산 정책의 진정성과 신뢰성만 훼손됐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차정윤[jycha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80122094749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