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23일, 9명의 사상자를 낸 부산 지하차도 침수사고. <br /> <br />밤 10시부터 시간당 8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생긴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구명 보트까지 투입된 지난 주 대전 아파트 침수 역시, 늦은 밤, 새벽 시간대 시간당 100mm가 넘는 물 폭탄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야행성 폭우' 비단 올해 장마만의 특징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2011년 서울 우면산 사태와 2017년 청주 물난리도 새벽부터 이른 아침 사이 기습적인 폭우로 피해가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낮엔 잠잠하다가 방재에 취약한 밤에 비가 쏟아지는 일이 반복되는 원인은 뭘까요? <br /> <br />[반기성 / 케이웨더 예보센터장 : 밤과 낮의 기온 차이 때문에 그렇습니다.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장마전선에서 습기를 공급해 주는 건 서해 상에서 남서기류로 들어오죠. 뜨거운 기류가 육지 쪽으로 들어오면 북쪽의 찬 공기하고 부딪치면서 특히 밤늦게나 새벽에 기온 차가 더 커지다 보니까 대기 불안정이 극심해지죠.] <br /> <br />기온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움직이는 대기의 특성상, <br /> <br />서해 상에서 수분을 한껏 머금은 공기가 밤에 공기가 빨리 식는 육지 쪽으로 흘러들면서 세찬 비를 뿌린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다소 잦아든 비도 내일 새벽 3시부터 다시 강해질 것이라는 예보가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한반도 아열대화로 짧은 시간, 좁은 지역에 퍼붓는 '스콜성' 폭우가 잦아져 예측하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080414465426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