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징용기업 자산현금화' 충돌…한일관계 곳곳 암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강제징용 기업이 즉시항고를 예고하면서 자산매각을 둘러싼 법정 공방은 상급심으로 이어지며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한일 갈등의 골이 깊어진 가운데, 해결의 길은 요원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"강제징용 문제는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최종 해결됐다."<br /><br />일본제철의 항고이유는 일본정부 입장을 반복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동안 마찰 과정에서 드러난 한일 간 인식의 간극이 다시 한 번 확인된 셈입니다.<br /><br />문제는 해결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특히 이번 달, 암초가 곳곳에 포진해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선 8월 15일은 광복절입니다.<br /><br />한국에는 주권을 되찾은 경사 일이지만 일본에는 패전의 역사를 기억하는 날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총리의 이날 메시지가 주목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또 오는 22일은 한국이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, 즉 지소미아 종료를 통보 한지 1년이 되는 날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1월 이 통보의 효력을 유예하면서 정면충돌은 피했지만, 유예를 철회하면 협정은 즉시 종료됩니다.<br /><br /> "지소미아는 날짜에 구애받지 않고 우리 정부가 언제든지 종료 가능하며, 협정을 1년마다 연장하는 개념은 현재 적용되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신중한 입장이지만, 한일관계가 최악 국면으로 가면 종료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 정부는 외교채널을 통한 해결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제징용 문제 등을 풀기 위한 대화에 성의를 보이라고 일본에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동시에 일본의 보복에 대비해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을 중심으로 종합계획을 마련하고,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