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급류·토사 피해 집중…사고 원인과 대책은?

2020-08-09 1 Dailymotion

급류·토사 피해 집중…사고 원인과 대책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발생한 급류와 토사 등으로 안타까운 사고들이 잇따랐습니다.<br /><br />언제 또 이런 일이 닥칠지 모르는데요.<br /><br />혹시나 모를 비슷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대책을 김경목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갑자기 불어난 하천에 고립된 시민들.<br /><br />사람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시내버스도 급류 속에 갇혀 사람들이 긴급 대피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산사태로 토사가 덮친 자리엔 안타까운 흔적만 남았습니다.<br /><br />전국에 집중호우가 쏟아진 지난 6일까지 17명이 숨지고 10명이 실종된 참사현장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대부분이 산사태와 토사 유입, 급류에 숨졌고 차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경우도 2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건물 안이나 수위가 비교적 얕은 곳도 결코 안전하지 않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산 중턱에 위치한 샌드위치 판넬같은 소재의 건물은 물을 머금은 토사에 취약하고 물속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겉 표면에는 잔잔하게 보일지라도 하류 밑에 안쪽에는 훨씬 급한 급류가 흐르기 때문에 수영을 잘하는 분들도 반드시 주의를…"<br /><br />차량에 있는 경우 물이 갑자기 차오르면 수압에 문이 열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신속히 빠져나와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 "차가 침수됐을 경우에는 차에 연연하다 보면 탈출하는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기 때문에 창문을 통해서 즉각 탈출하든지…"<br /><br />또 인명사고가 비도심 지역에 집중된 만큼 취약 지역의 비상 연락망 구축 등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