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전국 곳곳 '물폭탄'...반복되는 피해 막으려면? / YTN

2020-08-09 3 Dailymotion

■ 조원철 /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 <br /> <br /> <br />40일 넘게 이어지는 긴 장마에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앞서 전해 드린 것처럼 각종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. 워낙 많은 비가 한꺼번에 내린 탓도 있지만 인명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전 국립방재연구소장인 조원철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명예교수와 함께 관련 내용들 짚어보겠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조원철] <br />수고 많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유례 없이 긴 장마가 이어지고 있는데요. 이달 들어서만 600건이 넘는 산사태도 발생했습니다. 지금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산사태 경보 최고 단계인 심각이 내려져 있는데요. 산사태가 주로 일어나는 곳 어떤 특성이 있을까요? <br /> <br />[조원철] <br />우선 알다시피 경사가 급한 곳이고 또 수목이 우거진 곳에서 많이 일어날 수 있죠.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것은 이번에 오랫동안에 비가 많이 왔기 때문에 이미 산에 있는 흙이 물 먹을 수 있는 만큼 다 먹은 겁니다. 즉 함수율이 100% 정도에 이르도록 물을 다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다 조금만 더 세게 비가 내리면 산사태가 일어나는 거죠. 그런데 우리나라는 흙의 두께, 표토라고 그래요. <br /> <br />표면에 있는 흙의 두께가 평균 1m 조금 넘을 정도입니다.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장기간의 강우로 인해서 흙이 완전히 물에 젖어있기 때문에 무너질 수 있는 곳이 전국 다, 모든 곳이 다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을 하시고 산 가까이에 사시는 분들은 특히 경사지 가까이에 사시는 분들은 주의 깊게 지켜봐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흙의 두께를 말씀해 주셨는데 이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건가요? <br /> <br />[조원철] <br />흙 두께가 깊으면 깊을수록 표면에 내린 빗물이 깊게 들어갈 거 아닙니까? 그런데 이게 표토가 얇으면 그 밑은 암석이나 아니면 단단한 흙이 들어 있거든요. 그러면 땅속으로 물이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옆으로 흐르게 됩니다. 옆으로 흐르면 우리가 아이스크림을 여러 층으로 쌓아놓은 것과 마찬가지로 위가 무너져버리고 밑에는 암석이 있으니까 그 사이에 물 흐름층이 생겨버리면 위에 있는 흙이 전부 다 무너지게 되는 거죠. <br /> <br /> <br />그렇군요. 요즘에 보면 경치 좋은 펜션이나 전원주택을 만들겠다고 해서 산을 깎거나 절벽 밑에 짓는 경우들도 종종 있거든요. <br /> <br />[조원철] <br />많이 있죠. <br /> <br /> <br />이런 곳은 또 산사태에 특별히 더 위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80916271508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