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번 피해가 온전히 ‘비가 너무 와서’ 자연 탓이기만 할까요. <br><br>혹시 사람 탓, 인재였던 부분은 없을까요. <br><br>태양광 발전시설이 있는 열 곳에서 산사태가 줄을 이었습니다. <br><br>나무 베고 비탈을 깎을 때부터 이런 사고를 예견한 전문가들이 적지 않습니다만 800곳 넘는 지역이 비슷한 상황이라는 게 더 큰 걱정입니다.<br> <br>김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<br><br>[리포트]<br>산사태로 무너져내린 돌과 흙더미 사이로 철 기둥과 태양열 집광판이 보입니다. <br> <br>지난달 31일 충남 천안에 시간당 52mm의 장대비가 쏟아진 다음날, 산비탈에 있었던 태양광 발전시설이 무너져내린 겁니다. <br><br>"태양광시설 옹벽이 무너지면서 소들이 있는 농장 바로 앞까지 진흙이 몰려왔습니다." <br><br>사람도 소도 다치진 않았지만 농장 주변으로 진흙과 부서진 구조물이 뒤엉켜 밀려왔습니다. <br> <br>마을 배수로도 막혀 피해가 잇따랐습니다. <br> <br>[송상범 / 충남 천안시] <br>"빗물이 내려오니까 (토사가) 다 넘쳤어요. 밭으로 넘쳤어요. 이런 적이 처음이에요." <br> <br>이번에 무너진 시설은 3년 전부터 발전을 시작했고, 지난 6월 산림청과 천안시청의 안전 점검도 통과했습니다. <br> <br>[산림청 관계자] <br>"배수로도 토사가 이런 게 적출되거나 막힘 없이 잘 관리가 되고 있었다고 그러더라고요." <br> <br>시설 관리 직원이 상주하고 있었지만 이번 폭우에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. <br><br>강원 철원에서도 태양광 발전시설이 무너졌는데, 인근 주민들은 추가 붕괴에 대한 두려움에 아예 다른 곳으로 피신했습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50분 만에 무너져서 위험해서 피신하고 나흘째 나가서 자고 있어요." <br><br>이번 장마와 폭우로 전국 1만2700개 태양광 발전시설 가운데 10개 시설이 무너졌습니다. <br> <br>경북이 4곳으로 제일 많고, 충남과 전북 강원과 충북에서 발생했습니다. <br><br>주로 산비탈에 집광판이 설치된 곳들이었습니다. <br> <br>경사지에 나무를 베어내고 시설을 설치하다보니 산사태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공하성 /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] <br>"흙의 지탱력을 감소시키고 나무가 흡수하던 물을 땅으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산사태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." <br><br>산림청은 전국 81개 시군구에 산사태 예보를 발령하고,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의 태양광 발전시설 802곳을 점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liv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