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난 해 8월 미래통합당은 광화문 광장에서 대규모 장외집회에 섰습니다. <br> <br>개천절에도, 한글날에도 거리에서 투쟁했습니다. <br> <br>강경 지지자를 잡아야 선거에서 승리할거라 믿었겠지만, 결과는 아시다시피 참패였습니다. <br> <br>그래서일까요. 올 광복절엔 광장에 서지 않습니다.<br> <br>왜 달라진 걸까요. 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래통합당이 보수 시민단체들이 주최하는 8.15 광복절 집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수차례 광화문 집회에 참석한 것과 대비되는 행보입니다. <br><br>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최근 당 비공개 회의에서 "광복절 집회에 참석하는 건 다시 과거로 회귀하는 것"이라며 일찌감치 선을 그었습니다.<br> <br>[김종인 /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(지난 6일)] <br>"의회민주주의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더 이상 다른 방법은 없고, 의원 개개인들이 토의 과정을 통해 실상을 제대로 지적하는 방법 뿐입니다." <br> <br>통합당은 이전 황교안 대표 체제에서 삭발과 단식 등 거친 투쟁 방식을 택하는가 하면 대규모 장외 집회에도 연이어 참석했지만 결과는 총선 참패로 돌아왔습니다. <br> <br>[황교안 / 전 자유한국당 대표(지난해 12월)] <br>"반드시 이 정부의 폭정을 낱낱이 밝혀 내겠습니다 여러분." <br> <br>강성 보수 세력의 이탈을 막으려다 중도층의 공감을 사지 못했다는 점이 선거 패배 요인으로 꼽히면서 장외 투쟁을 주장하는 목소리는 힘을 잃었습니다. <br> <br>최근 윤희숙 의원의 본회의 연설이 국민적 호응을 얻으면서 당내에선 "원내 투쟁 전략이 먹혀들고 있다"는 평가도 나옵니다. <br><br>실제 통합당은 최근 지지율 조사에서 4.15 총선이후 최고 증가 폭을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><br>두 당의 격차가 0.8%포인트 차이로 좁혀졌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.<br> <br>거여 독주 속에 투쟁 전략을 고심하던 통합당이 메시지 정치로 전략을 급선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 <br>ys@donga.com <br>영상편집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