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월 이후 해외 유입 증가세…내국인보다 외국인 확진 많아 <br />바이러스 변이 3건 확인…파키스탄 2건, 우즈베키스탄 1건 <br />바이러스 변이 3건 WHO에 보고…각국 전문가들과도 논의 <br />이태원 클럽 사태 이후 국내 유행 바이러스는 GR형이 대부분<br /><br /> <br />해외에서 입국한 외국인 확진자로부터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 건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지 않은 유형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6월 이후 국내에선 해외 유입 증가세가 뚜렷했습니다. <br /> <br />내국인보다 외국인 확진이 더 많았는데 대부분 농어촌 계절 노동자로 들어온 이들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러스 변이 3건도 여기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파키스탄 2건, 우즈베키스탄 1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은경 / 중앙방역대책본부장 : 해외 입국자에서 검출된 바이러스에서 감염에 관여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한 새로운 변이 3건을 확인했습니다.] <br /> <br />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 표면에 돌기처럼 솟은 것을 말하는데 인체 내 세포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 속으로 침투하도록 돕습니다. <br /> <br />변이는 바로 여기에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파키스탄 2건은 86번째 돌기와 787번째 돌기, 우즈베키스탄 건은 614번째 돌기가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지 않은 유형입니다. <br /> <br />[정은경 / 중앙방역대책본부장 : 처음으로 발견한 변이이기 때문에 저희도 이게 어떤 감염력이나 병원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세포나 동물을 가지고 좀 더 평가실험을 해야 되는 상황이어서 진행할 예정이고요.]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이 세 건이 PCR 진단검사엔 문제가 없지만, 감염력이나 병원력은 어떨지 WHO, 각국 전문가들과도 논의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1월부터 4월까지 국내에선 중국 우한 중심의 S형과 V형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경북 예천과 서울 이태원 클럽 사태가 터진 뒤로는 중국 우한 형의 변종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유행 중인 GH형과 GR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81022214024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