땅 꺼지고 흙 와르르…호우 시설피해 2만건 넘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태풍 '장미'는 소멸했지만, 장마전선이 다시 활성화하면서 중부지방은 또 빗줄기가 굵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추가 피해가 우려되는데요.<br /><br />보도국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장맛비가 계속되면서 집이 내려앉고, 땅이 꺼지는 등 피해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오늘(11일) 0시 무렵, 서울 전농동에서는 주택이 일부 무너져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다행히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라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, 엄청난 양의 잔해를 치우는 작업은 새벽까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오후 8시쯤 경북 영천시 신녕면의 왕복 4차선 도로에서는 주변 야산의 흙이 무너져 내려 세 개 차로가 토사에 묻혔고, 당국이 밤새 응급 복구작업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곳곳에서 땅꺼짐 현상도 잇따랐는데요.<br /><br />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단지 입구 앞 횡단보도에 지름 2.5m, 깊이 3m 규모의 땅이 꺼졌습니다.<br /><br />경남 하동 악양면에서도 도로에 지름 3m, 깊이 2m의 큰 구멍이 생겨, 차량통행에 불편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지난 1일부터 집계한 인명피해 현황도 살펴보면요.<br /><br />오늘 오전 6시 기준 사망자는 31명, 실종자는 11명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부상자도 8명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이재민은 총 7천500여명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어젯밤 한탄강 수위가 상승하면서 강원도 철원 주민 400명 가까이가 인근 초등학교와 마을회관으로 대피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전남 곡성과 구례, 전북 전주 남원, 경남 하동 합천에서도 추가 이재민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시설피해는 2만800여건으로 2만건을 훌쩍 넘겼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부 교통 통제도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광주-대구선 고속도로와 부산·전남·경남 등 일반도로 총 73곳에서 차량 통행이 차단됐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양방향을 모두 통제했던 광주-대구선의 경우, 광주 방향의 차단은 풀었습니다.<br /><br />또한, 집중호우로 차단했던 호남선 구간은 오늘 6시30분, 1개 차로를 우선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철도는 충북선·태백선·영동선·경전선·장항선 등 5개 노선에서 열차 운행이 전면 또는 일부 중단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또 지리산·설악산·속리산 등 전국 22개 공원 608개 탐방로가 차단됐습니다.<br /><br />기상청에 따르면, 오늘도 경기도와 충남, 전라도에 돌풍과 천둥 번개를 동반한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겠고, 차차 내륙으로 비가 확대될 전망인데요.<br /><br />중부지방의 장맛비는 오는 16일까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여 추가 피해 입지 않도록 계속 주의하셔야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