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주말 기록적인 폭우 때 수해를 당한 지역 가운데에는 댐 방류 때문에 피해가 더 커진 곳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용담댐 하류에 있는 전북 무주와 충남 금산, 충북 영동과 옥천 등인데요. <br /> <br />이 지역에서는 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를 원망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점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폭우가 쏟아지던 지난 7일. <br /> <br />전라북도 전주 등 7개 시군의 식수와 용수를 담고 있는 용담댐에서는 초당 291톤의 물을 방류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기록적인 폭우가 끊임없이 이어지자 다음날 수문을 모두 열고 10배에 가까운 초당 2천9백 톤을 쏟아내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용담댐 하류에 있던 4개 시군에서는 물난리가 훨씬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이 물에 잠기고 인삼밭 등 농경지는 한마디로 쑥대밭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되자 수해복구를 진두지휘하던 자치단체장들이 댐을 관리하는 수자원공사 본사로 달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'저수량을 고려해 일찌감치 수위 조절을 하지 못해 물난리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. <br /> <br />한마디로 인재'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박세복 / 충북 영동군수 : 저희는 재해로 보지 않고 인재로 보기 때문에 용담댐 방류로 인해서…. 인재로 보기 때문에 방문한 겁니다.] <br /> <br />진안 용담댐 현지를 직접 찾아 항의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수자원공사는 피해는 안타깝지만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태풍 루사 이후 최대인 엄청난 양의 폭우로 인한 불가피한 방류였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장마 중반 수위 조절을 위한 소량 방류를 할 때 하류 지자체에서는 농사 등에 영향을 받는다며 오히려 방류량을 줄여달라는 공문을 보내왔다고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진우 / 수자원공사 금강물관리처 부장 : 7월 14일 그때부터 이미 수문을 열어서 수위 조절을 하고 있었습니다. 하지만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이 지속적인 방류량 감량을 요청했고, 하류에 세월교 등 여러 군데가 침수됨에 따라서 농업을 할 수 없다고….] <br /> <br />이렇게 되자 소송을 통해서라도 댐 방류로 인한 손해를 배상받아야 한다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불가피한 천재지변인지, 아니면 거기에 인재가 섞였는지? 당초 최악의 여름 무더위라는 기상청 예보와 달리 최장, 최악의 장마가 닥쳤죠. <br /> <br />그 후폭풍은 상당히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점곤[ohjumgon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81216542700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