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는 집값이 계속 오르긴 하지만 상승세는 꺾였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늘 발표된 통계를 보면, 서울은 집값 상승세가 소폭 둔화 됐지만, 지방 5대 광역시의 상승폭은 오히려 커졌습니다. <br> <br>특히 세종시의 아파트 값은 급등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정부세종청사 인근에 위치한 대단지 아파트입니다. <br> <br>더불어민주당이 행정수도 이전 방침을 밝힌 뒤, 집값에 불이 붙었습니다. <br><br>이 아파트 전용면적 85㎡는 지난 1월 5억 5000만 원에 거래됐지만 지난달 7억 원에 팔렸습니다. <br> <br>반년 만에 무려 1억 5천만 원이 오른 겁니다.<br> <br>현재 호가는 10억 원에 달합니다. <br> <br>[세종시 공인중개사] <br>"7억 후반까진 거래됐고요, 9억에서 10억까지 나온 것도 있어요. 바로 볼 순 없고 예약을 하셔야 하거든요. 물건도 없고 값도 올라서." <br> <br>한국감정원에 따르면 8월 둘째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0.12% 올랐습니다. <br><br>서울 아파트값은 0.02% 올라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줄어들었지만, 대전과 부산 등 5대 광역시는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. <br> <br>세종시의 경우 2.48% 급등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.<br> <br>세종 집값은 올해 들어서만 31% 넘게 뛰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"집값 상승세가 진정되고 있다"고 했지만 현실에서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는 겁니다. <br> <br>[심교언 /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세종시 이전 같은 이슈가 부각 될 때마다 가격이 더 급변하고 있어서, 중장기적으로 불안한 양상이 지속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." <br> <br>상황이 이런데도 정부가 부동산 시장에 대해 섣부른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정다은